소쉬르 '일반 언어학 강의'

언어학자 소쉬르는 스위스에서 태어나 가정환경에 의해 자연스럽게 책을 접하고 유럽 전역에 유명한 언어학자가 되었다. 외국에서 국적을 바꾸면 최고 영예의 교수직을 보장한다고 했지만 조국 스위스의 국적을 포기할 수 없다고 거절한다.
그는 살아있는 동안 책을 출간한 적이 없다 . 그의 제자들이 노트와 기억을 더듬어 출간한 책이 <일반 언어학 강의>라 한다. 그는 유럽 사상사의 한 축을 형성한 인물로 제네바 대학에서 3차에 걸친 강의를 토대로 제자들이 엮은 것이 <일반 언어학 강의>다. 100년이 지난 지금도 현대 언어학 뿐만 아니라 인문사회과학 전반을 이해하는 데에도 유효하고 필수적이다.
고대 인도어인 산스크리트어를 분석하여 기호학의 성립과 기호의 구성 원리를 설명하면서 언어 가치 이론을 전개해나갔다. 언어의 시간성 문제로 공시태와 통시태의 차이를 설명하면서 내재 언어학과 외재 언어학, 단위와 정체성 그리고 언어메커니즘을 이해할 필요성을 설명했다. 지리언어학을 분석하며 근원을 찾음으로써 문자의 기호학상 위상을 입증하려고 노력했다.
우리나라는 주시경 선생과 그의 제자인 최현배 선생 등으로 이어지는 언어학자들이 언어의 분석과 국어의 연구에 몰두했다. 세종대왕이 1443년 창제하시고 1446년 발표한 한글을 사랑하지 않을 수 없다. 중국의 방해로 삼국시대와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들어 비밀리에 창제한 한글을 아끼고 사랑하자. 일본은 방해꾼이 없어 이미 8세기에 자체 문자를 만들었다.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니얼 카너먼 '생각에 관한 생각' (1) | 2023.11.22 |
---|---|
김원중 역 '한비자' (1) | 2023.11.21 |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1) | 2023.11.15 |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告白錄)' (1) | 2023.11.13 |
토머스 프리드먼 '늦어서 고마워' (0) | 2023.10.26 |